전체 글 41

[자바/Java] 클래스와 객체

객체지향 언어(Object Oriented Programming)의 핵심적인 4가지의 개념 1. 캡슐화 2. 상속 3. 추상화 4. 다형성 객체지향 언어 = 프로그래밍 언어 + 객체지향개념(규칙) 규칙을 외워야지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음. 클래스(class) 클래스의 정의: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해놓은 것 클래스의 용도: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 데 사용 객체의 정의: 실제로 존재하는 것, 사물 또는 개념 객체의 용도: 객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속성에 따라 다름 -> 클래스는 설계도, 객체는 제품이라고 생각하면 편함 클래스의 정의 1. 설계도 2. 클래스 == 데이터 + 함수의 결합 1) 변수: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 2) 배열: 같은 종류의 여러 데이터를 하나로 저장할 수 있는 공간 3)..

Self-study/자바 2023.09.09

[JavaScript] 기본형과 참조형

참조형 복사하기(Reference Type Copy) let number1 = [1,2,3]; let number2 = number1; number2.push(4); console.log(number1); console.log(number2); // 이 경우, 참조형은 주소값을 복사하기 때문에, number1과 number2가 동일한 리턴값을 가짐. //다르게 하고 싶다면 let number1 = [1,2,3]; let number2 = number1.slice(); number2.push(4); console.log(number1); console.log(number2); 객체의 경우, let course1 = { title: 'comp1537'; language: 'JavaScript', }; let..

[JavaScript] 문자열심화

length property let myString = 'Hi Moon'; console.log(myString.length); //결과값: (공백포함) 7 요소접근 let myString = 'Hi Moon'; console.log(myString[3]); // 대괄호 표기법 console.log(myString.charAt(3)); // charAt메서드 // 결과값: M 요소탐색 let myString = 'Hi Moon'; console.log(myString.indexOf('i')); // 앞부터 console.log(myString.lastIndexOf('i')); // 뒤부터 console.log(myString.indexOf('c')); // 없는 문자열 //결과값: 1, 5, -1 대문자..

[JavaScript] 숫자표기법

지수표기법 e양수10의 거듭제곱 만큼 곱한 의미. e음수: 음수 만큼 10의 거듭제곱으로 나누는 의미. let millionaire = 1000000000; let myNumber = 1e9; // 지수표기법 // 16진법(Hexadecimal) let hex1 = 0xff; // 255 let hex2 = 0xFF; // 255 //8진법(Octal) let octal = 0o377; // 255 //2진법(Binary numeral system) let binary = 0b1111111; //255 숫자형메소드 1. toFixed(); (0~100) 파라미터 숫자까지 소숫점 나오게 하는 메서드 ※이들의 자료형은 string이라서 숫자로 활용하려면 Number로 형변환 필요! let myNumber =..

[JavaScript] 배열(Array)

배열 let color = [ 'blue', 'red', 'yellow' ]; index == propertyName 대괄호로 묶어줌 index는 0부터 시작 배열도 객체의 한 종류 typeof 해보면 object가 나옴. indexing(0~...) console.log(배열이름[index]); 메서드 let members = ['moon', 'domg', 'seok', 'young', 'BCIT']; // 1. length console.log(members.length); // 안에 몇개가 있는지 결과값: 5 console.log(members.['length']); console.log(members[members.length - 1]); // 배열의 마지막 요소 결과값: BCIT // 2. 추가..

[JavaScript] 객체와 프로퍼티

1. 객체(Object) 여러가지 값을 한 번에 저장하고 싶다면 객체를 사용하면 됨. '자바스크립트'의 모든 것이 객체다! { userName: '문영', bornYear: 1993, isVeryNice: true, worstCourse: null } { } 중괄호로 묶인 것을 객체라고 함. 오른쪽 부분을 값(property value), 왼쪽을 값의 이름(Property Key)라고 부름. key + value 한 쌍로 이뤄진 것을 property라고 함. property name 주의 사항 : 문자(String), 따옴표를 생략하더라도 자바스크립트가 암묵적으로 스트링이라고 생각. 첫 번째 글자는 반드시 문자, 밑줄(_), 달러기호($) 중 하나로 시작! 띄어쓰기 금지! 하이픈(-) 금지 불가피하게 위..

[JavaScript] 함수/ Scope/상수

함수에서 return문을 따로 작성하지 않으면 'undefined' 출력 파라미터에 아무값도 넣지 않으면 'undefined' 출력 옵셔널 파라미터(Optional Parameter) ※ 가장 뒤쪽으로 선언해줘야지 밀리지 않음 주의! function introduce(name, age, nationality = 'Korea'){ console.log(`My name is ${name}.`); console.log(`I am ${age} years old.`); console.log(`I am from ${nationality}.`); } introduce('moon', 25, 'Canada') // 값을 모두 전달한 경우 => nationality가 Canada로 뜸 introduce('Dong', 30..

[JavaScript] 할당연산자(Assignment Operators)

할당연산자 let name = '무녕'; let x = 5; x = x-2; // 오른쪽에 있는 피연산자를 왼쪽 피연산자에 할당했다. // 할당연산자의 오른쪽을 먼저 볼 것. // 숫자 3을 변수 x에 할당. 복합할당연산자(Compound Assignment Operators) x = x + 1; x += 1; x = x + 2; x += 2; x = x * 2; x *= 2; x = x - 3; x -= 3; x = x/2; x /= 2; x = x % 7; x %= 7; 증가(increment), 감소(decrement) 연산자 x = x + 1; x += 1; x++; x = x - 1; x -= 1; x--;