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lf-study/기타

[Jira] Jira Software 설명

Munyoung 2023. 8. 2. 17:13

Jira(지라)

Jira란?

- 짧은 주기의 개발단위를 반복해 프로젝트를 완성시켜 나가는 에자일 방식의 프로젝트 관리 협업 툴

- 칸반, 스크럼 등을 사용. 

- 개인/사무용 업무관리 가능 

- 아틀라시안(Atlassian)이 개발한 이슈추적 소프트웨어로 버그추적, 이슈추적, 프로젝트 관리기능을 제공

 

Board

1. Scrum boards: 애자일 조직이 크고 복잡한 프로젝트를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쪼갤 수 있도록 도와줌. 

2. Kaban boards: 애자일과 데브옵스 조직이 칸반 보드를 통해 워크플로우를 시각화할 수 있고, 일의 진행을 제한하고, 일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. 

 

이슈(Issue)

- 작성부터 완료까지 추적하는 모든 유형 또는 크기의 단일 작업항목 

- 중요도, 완료일, 다른 이슈와의 관계 등 다양한 필드 설정 가능 

- 개별 이슈는 구분하기 위한 unique key 존재 

Jira 이슈 계층구조

유형

이슈유형 설명 
에픽(epic) 개별 작업으로 나눌 수 있는 대규모 작업. 상위이슈라고도 함. 타임라인에서 색깔이 있는 막대로 표시됨. 
스토리(Story)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담은 것 
테스크(작업, Task) 에픽/스토리의 하위작업. 각 태스크에도 하위태스크 생성이 가능하다. 
버그 결함, 장애 
개선  버그까지는 아니지만 품질 향상이 필요한 부분, 

이슈필드 

한 이슈 안에 담당자, 기한, 상태와 같이 작업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.

 

연동(Connect)

컨플루언스(confluence)

지라와 같은 회사인 아틀라시안에서 운영하는 서비스로 업무와 관련한 매뉴얼, 지식, 정보 공유할 수 있는 내부 위키 페이지. 같은 회사인만큼 쉬운 연동이 가능하고, 컨플루언스에서 작성한 페이지는 지라의 프로젝트 페이지 항목에서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. 각 이슈마다 컨플루언스 페이지 연동을 해놓으면 업무 담당자는 물론 협업 과정에서 동료까지 이전 히스토리와 정보 쉽게 파악 가능. 

 

깃허브(GitHub)

-> 다른 페이지 링크 

 

자동화(Automation)

자동화를 사용하면 팀에서 작업, 프로세스, 워크플로를 자동화해 반복적인 수동 작업을 할 필요 없이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다. 

자동화 규칙은 규칙을 시작하는 트리거(trigger), 규칙을 구체화하는 조건(condition), 사이트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동작(action)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. 

  • Trigger: 모든 규칙은 트리거로 시작됨. 트리거는 규칙의 실행을 시작함. 지라에 이슈를 만들거나 필드 값을 변경하는 것과 같은 이벤트의 수신을 대기한다. GitHub와 같은 타사 서비스에서 실행할 규칙을 트리거 할 수도 있다. 
  • Condition: 조건을 사용하면 규칙의 범위를 좁힐 수 있다. 규칙을 계속 실행하려면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. 예를 들어, 이슈의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에만 에스컬레이션하도록 규칙을 설정할 수 있음. 
  • Action: 규칙의 실행. 동작을 사용하면 작업을 자동화하고 사이트 내에서 여러 가지를 변경할 수 있다. 동작을 통해 이슈 편집, 알림 전송, 또는 하위 작업 만들기와 같은 여러 작업 수행 가능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