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ength property
let myString = 'Hi Moon';
console.log(myString.length);
//결과값: (공백포함) 7
요소접근
let myString = 'Hi Moon';
console.log(myString[3]); // 대괄호 표기법
console.log(myString.charAt(3)); // charAt메서드
// 결과값: M
요소탐색
let myString = 'Hi Moon';
console.log(myString.indexOf('i')); // 앞부터
console.log(myString.lastIndexOf('i')); // 뒤부터
console.log(myString.indexOf('c')); // 없는 문자열
//결과값: 1, 5, -1
대문자/소문자 변환
let myString = 'Hi Moon';
console.log(myString.toUpperCase()); // 대문자로
console.log(myString.toLowerCase()); // 소문자로
양 끝 공백제거
let myString = ' Hi Moon ';
console.log(myString.trim());
//결과값: Hi Moon
부분 문자열 접근 slice(start, end) : 끝 인덱스 바로 직전까지의 문자열을 가져옴. 두번째 파라미터 생략하면 끝까지. 아예 생략하면 문자열 전체 가져옴
let myString = 'Hi Moon';
console.log(myString.slice(0,2));
console.log(myString.slice(3));
console.log(myString.slice());
//결과값: Hi, Moon, Hi Moon
for...of
let myString = 'Codeit';
for (let str of myString) {
console.log(str);
}
//결과값:
C
o
d
e
i
t
배열과 다른점
1. typeOf
let myString = 'Codeit';
let myArray = ['C', 'o', 'd', 'e', 'i', 't'];
console.log(typeof myString);
console.log(typeof myArray);
// typeOf연산자로 자료형을 비교해 보면, myString은 string으로 myArray는 object로 나옴
let myString = 'Codeit';
let myArray = ['C', 'o', 'd', 'e', 'i', 't'];
console.log(myString === myArray);
console.log(myString == myArray);
// 두 값도 모두 false로 다름
2. mutable(바뀔 수 있는)/immutable(바뀔 수 없는)
문자열은 한 번 할당된 값을 수정할 수 없다. 변수에 할당된 문자열을 바꾸고 싶다면 일부를 바꾸는게 아니라 아예 새로운 문자열을 지정해줘야 한다.
// 배열은 mutable
let myArray = ['C', 'o', 'd', 'e', 'i', 't'];
myArray[0] = 'B';
console.log(myArray);
// 문자열은 immutable
let myString = 'Codeit';
myString[0] = 'B';
console.log(myString);
//결과값: (6) ["B", "o", "d", "e", "i", "t"], Codeit
'Self-study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기본형과 참조형 (0) | 2023.08.31 |
---|---|
[JavaScript] 숫자표기법 (2) | 2023.08.29 |
[JavaScript] 배열(Array) (2) | 2023.08.26 |
[JavaScript] 객체와 프로퍼티 (0) | 2023.08.26 |
[JavaScript] 제어문 (0) | 2023.08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