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lf-study/Javascript

[JavaScript] 제어문

Munyoung 2023. 8. 25. 16:07

1. if문(if Statement)

문법:

if (조건부분) {
	동작부분
}

 

예시:  

let temp = 0; 

if(temp <= 0){
	console.log('물이 업니다.'); 
} else{
	console.log('물이 얼지 않습니다.');
}

else if : 조건이 두개 이상일 때, else안에 또 한 번 if-else구문을 넣어줌. 

let temp = 0; 

if(temp <= 0){
	console.log('물이 업니다.'); 
} else {
	if(temp < 100){
    console.log('물이 얼지도 끓지도 않습니다.'); 
    } else {
    console.log('물이 끓습니다.'); 
    }
}

이런 코드는 너무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해결하기 위해 if 문이 중첩될 때는 else if문을 사용. 

let temp = 0; 

if(temp <= 0){
	console.log('물이 업니다.'); 
} else if(temp < 100){
    console.log('물이 얼지도 끓지도 않습니다.'); 
    } else {
    console.log('물이 끓습니다.'); 
}

2. Switch문(Switch Statement)

문법:  

switch(비교할 값){
	case 조건값_1:
    	동작부분; 
    	break; // switch 문을 빠져나오는 역할 
    case 조건값_2; 
    	동작부분;
        break; 
    default:
     	동작부분; // 그 어떤 조건값과도 일치하지 않을 경우(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)
}

 

※ 범위를 만족하는 조건식을 만들 때는 if문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, 특정값을 만족하는 조건식을 만들 때는 switch문이 더 효과적임. 

 

3. for 반복문 (for loop statement)

문법

for (초기화 부분; 조건부분; 추가동작부분) {  // 초기화 부분은 딱 한 번 실행됨. 
	동작부분 
}

// 초기화 부분은 딱 한 번 실행됨.
// 동작부분은 조건부분이 충족될 때까지 계속 반복.

예시

for(let i = 1; i <= 10; i++) {
	console.log('I love you!')
}
  • for문에서 추가 동작부분을 꼭 채울 필요는 없음. 추가 동작부분이 이렇게 변형 가능! 
for (let i = 1; i <= 10;) {
  console.log(`${i} 코딩 짱!`);
  i++;
}
  • 초기화 부분에서 생성한 변수는 for문의 로컬변수다. => for문안에 생성된 로컬 변수이기 때문에  반복문 밖에서 사용하면 에러 발생! 
for (let i = 1; i <= 10; i++) {
  console.log(`${i} 코딩 짱 최고!`);
}

console.log(i);  // Error !!
  • 초기화 부분도 반드시 채울 필요는 없음. 글로벌변수 활용해도 큰 문제는 없음. 하지만 세미콜론은 생략 불가능!   즉, for문의 소괄호 안쪽에는 반드시 세미콜론 2개가 필요. 
let i = 1; 
for (; i <= 10; i++) { 
  console.log(`${i} 최고!`);
}

구구단 만들기 

 

for (let i = 1; i <= 9; i++) {
  for (let j = 1; j <= 9; j++) {
    console.log(`${i} * ${j} = ${i * j}`);
  }
}

 

4. While반복문

문법

while(조건부분){
	동작부분
}

예시

let i = 1; 

while(i <= 10){
	console.log(`${i} I love you!`); 
    i++; 
}